여비 한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비 한씨는 조선에서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된 인물이다. 1408년 공녀로 선발되어 명나라로 보내졌으며, 뛰어난 미모로 영락제의 총애를 받았다. 1421년 황제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투옥되었으나, 처형은 면했다. 영락제 사후 순장되어 처형되었고, 홍희제 즉위 후 강혜장숙려비로 추존되었다. 청주 한씨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 한영정과 어머니 의성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남동생 한확은 조선 시대 좌의정과 우의정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녀 - 권황후
권황후는 권겸의 딸이자 원 혜종의 아들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의 황후로, 정궁 황후 승격 후 딸 1명과 요절한 아들 1명을 두었으며, 원나라가 몽골로 쫓겨갈 때 동행한 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 공녀 - 공신부인
조선 출신 한씨는 세종 때 공녀로 선발되어 명나라 선덕제의 후궁이 되었고, 선덕제 사후 4대에 걸쳐 명나라 황실의 존경을 받았으며, 사후 '공신'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명나라의 후궁 - 만귀비
만귀비는 명나라 성화제의 후궁이자 19세 연상이었던 만정이로, 성화제의 깊은 신임을 얻어 귀비에 책봉되어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으며 후사 문제에 깊이 관여하며 논란을 낳았고 다양한 미디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명나라의 후궁 - 효정황후 (융경제)
효정황후는 명나라 융경제의 후궁이자 만력제의 생모로, 융경제 사후 자성황태후로 존숭되었으며 만력제의 섭정 시기에는 국정에 관여하기도 했다. - 1424년 사망 - 정소공주
정소공주는 조선 세종의 첫째 딸로, 1412년에 태어나 공주로 봉해졌으나 1424년 완두창으로 사망했다. - 1424년 사망 - 정선공주
태종과 원경왕후의 막내딸인 정선공주는 의산군 남휘에게 시집가 1남 1녀를 두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고, 손자인 남이는 세조의 총애를 받았지만 역모죄로 처형당했으며, 외손자인 신숙회는 영의정을 지내는 등 후손들이 조선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여비 한씨 | |
---|---|
기본 정보 | |
작위명 | 려비 (麗妃) |
시호 | 강혜장숙 (康惠莊淑) |
성씨 | 청주 한씨 (淸州 韓氏) |
출생 | 1398년 |
사망 | 1424년 8월 12일 (영락 22년 7월 18일) |
매장지 | 명나라 창릉 |
배우자 | 영락제 |
가문 | 청주 한씨 |
가계 | |
아버지 | 한영정 (韓永貞) |
어머니 | 의성 김씨 (義城 金氏) |
2. 생애
여비 한씨는 조선 출신으로, 영락제의 후궁이었다. 1421년 황제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투옥되었으나 처형은 면했다. 1424년 영락제가 사망하자 순장되었다.[2] 홍희제 즉위 후, 다른 후궁인 리씨는 조선으로 돌아가기를 청했으나 거절당하고 교살되어 순장되었다.[3] 리씨는 사후 "강회장숙리(康惠莊淑麗)"라는 시호를 받았다.[4]
2. 1. 조선 출신 공녀
조선은 명나라에 총 114명의 여성을 공녀로 보냈는데, 여기에는 뛰어난 미모로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된 한씨 부인을 포함한 16명의 처녀가 포함되었다.[2] 1421년, 한씨 부인은 황제의 후궁에서 많은 후궁들과 시녀들, 그리고 내시들이 황제를 암살하려는 음모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대량 처형되는 사건에 연루되었다.한씨 부인은 처형을 면했지만 투옥되었다. 1424년 영락제가 죽자, 황제와 함께 매장되기 위해 처형된 30명 중 한 명이 되었다.
2. 2. 영락제 시대
한씨는 뛰어난 미모로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었다.[2] 1421년, 황제를 암살하려는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받았으나 처형은 면하고 투옥되었다. 1424년 영락제가 사망하자, 순장되는 30명의 후궁 중 한 명이 되어 처형되었다.2. 3. 사후
홍희제 즉위 후, 강혜장숙려비(康惠莊淑麗妃)로 추존되었다.[4]3. 가족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한영정 | |
어머니 | 정경부인 의성 김씨 | ? - 1423년 3월 13일 |
남동생 | 한확 | 1400년 – 1456년, 조선 시대에 좌의정과 우의정을 역임. |
남동생 | 한전 | |
남동생 | 한질 | |
여동생 | 공신부인 | 명 선덕제의 후궁[5] |
여비 한씨는 조선 시대 여섯 명의 왕비를 배출한 명문가인 청주 한씨 출신이다.
4. 기타
여비 한씨와 관련된 기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아버지 | 한영정 |
어머니 | 의성 김씨 정경부인 (? - 1423년 3월 13일) |
남동생 | |
여동생 | 한계란(1410년 - 1483년), 선덕제의 후궁[5] |
남편 | 영락제 [2] |
기타 | 홍희제 즉위 후, 리씨 후궁은 조선으로 돌아가길 간청했으나, 홍희제는 리씨 후궁을 교살[3] |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된 한씨 부인을 포함하여 조선은 명나라에 총 114명의 여성을 공녀로 보냈다.[2] 공녀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국에 바쳐진 여성들을 말한다.
4. 1. 명칭
麗妃|려비중국어, 康惠莊淑麗妃|강혜장숙려비중국어는 명나라 영락제 시대의 칭호이다.[6]4. 2. 관련 인물
항목 | 내용 |
---|---|
아버지 | 한영정 |
어머니 | 의성 김씨 정경부인 (? - 1423년 3월 13일) |
남동생 | |
여동생 | 한계란(1410년 - 1483년), 선덕제의 후궁[5] |
남편 | 영락제 [2] |
기타 | 홍희제 즉위 후, 리씨 후궁은 조선으로 돌아가길 간청했으나, 홍희제는 리씨 후궁을 교살[3] |
4. 3. 역사적 배경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된 한씨 부인을 포함하여 조선은 명나라에 총 114명의 여성을 공녀로 보냈다.[2] 공녀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국에 바쳐진 여성들을 말한다. 더불어민주당은 공녀 제도가 여성의 인권을 침해하고 국가의 주권을 훼손한 대표적인 사례라고 비판한다.참조
[1]
서적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2
[2]
서적
조선 사람의 세계여행
https://books.google[...]
글항아리
2011
[3]
문서
《李朝实录·世宗庄宪大王实录一》
[4]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jong: Vol 68
http://sillok.histor[...]
2021-12-28
[5]
웹사이트
공신부인 한씨
https://ko.m.wikiped[...]
2021-12-28
[6]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jong: Vol 68
http://sillok.histor[...]
2021-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